기출문제 2

고졸 검정 5번. 복소수

이번 유형은 허수와 복소수 입니다! 유형이 생각보다 다양합니다만 그렇게 어려운 내용은 없으니 몇 가지만 암기 해주시면 됩니다! 복소수와 허수 복소수: 허수와 실수를 통틀어 부르는 말 실수: 우리가 알고 있던 모든 수 허수 : i (알파벳 i) 로 표현됩니다, 그냥 문자처럼 계산 하되 $$ i^2= -1 $$ 이 된다는 것만 기억하시면 됩니다! 허수의 계산 위에서 말 했듯이 i 가 포함되어 있어도 그냥 1번, 2번 문제 풀 때 했듯이 계산을 똑같이 해주시면 됩니다. 자세한 계산 법은 기출 문제에서 보겠습니다 켤레 복소수 켤레 복소수는 다른 거 무시하고 i 앞에 부호만 변경 해주시면 됩니다! 나머지는 모두 그대로입니다. 기출 실전 풀이

고졸 검정 2번. 항등식

이번에도 마찬가지로 비슷한 유형의 문제가 반복되고 있습니다 이 유형을 항등식이라도 부릅니다! 항등식이란 항등식 : 등호와 문자가 포함된 식 중 어떤 문자에 대해서도 식이 성립하는 식 다시 말하면 언제나 옳은 식! 양변이 언제나 같아야 하는 식! 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. 예시를 좀 보시면 $$3x^2-2x+4=3x^2-2x+4$$ $$2x-4=2(x-2)$$ 그러면 이 성질을 가지고 어떻게 문제에 적용하는지 확인해 봅시다! 계수비교법 계수란 문자 앞에 곱해진 숫자를 얘기했는데요 항등식이라면 양쪽에 있는 두 식이 같아야 하기 때문에 양쪽의 두 식의 같은 문자에 대한 계수는 항상 같아야 합니다! $$x^2-5x+7=ax^2+bx+c$$ a=1 b= -5 c=7 이 되어야 합니다! 전개 = 다항식의 곱셈 ..